2014년 9월 4일 목요일

양질미조건에 대해서...

농업기술정보 - 아름다운 산천, 기름진 들녘, 살기좋은 우리고장
- 쌀의 외관은 단타원형으로 중소립이며,
- 쌀알이 맑고 심복백미가 거의 없는 것이 상품성이 높음.
- 밥알이 완전하고 윤기가 있으며,
- 부드러운 질감이 있는 밥이 소비자의 기호성이 높음.
- 쌀의 도정 특성은 도정율과 백미 완전립율이 높은 것이 양호함.
- 쌀알의 이화화학적 특성은 아밀로스함량. 단백질함량 등이 낮은 쪽인 쌀이 밥
- 맛이 좋은 경향임.
지대별 양질미 품종
재배 지대 별양질미 품종명
 산간고냉지, 중산간지 오대, 상미, 중화, 새상주벼
 평야지 일품, 주남, 신동진, 새추청, 동진1호
 소득작물후작 만식재배지 금오벼2호, 금오벼, 만안, 만추벼
재배안전성이 높은 양질다수성 품종
구분해당 품종명
 식미가 우량한 품종 화성, 새추청, 추정, 중안벼
 식미양호, 내도복다수성 품종 일품, 서안, 종남, 새계화, 주남벼
 식미양호, 내도복, 복합내병성 품종 수라, 화봉, 화안, 동진2호벼
 식미양호, 내도복, 내냉성조생품종 오대, 새상주, 상미, 중화, 삼백벼
 식미가 양호하고 소비다수성 품종 신동진. 일품, 소비벼
- 출수기가 8월 15일경으로 대산벼보다 2~3일정도 빠른 경향임
- 볏대가 굵고 초세가 직립형으로 이삭당 벼알수가 많아 수량성은 높으나, 쓰러짐에는 다소 약함 편임
- 질소소비료 과다시 미질 및 등숙저하가 우려되므로 균현시비
- 수량성(10a당) : 시험성적 596kg
- 출수기가 8월 15일경으로 일품벼보다 1~2일 정도 빠름
- 일품벼보다 켜 키가 작고 특히 3절간이 짧에 쓰러짐에 강하며 이삭당 낟알수가 없아 수량성이 좋음.
- 저온발아성이 낮아 직파재배를 피하고, 묘초장이 빫고 초기 신장성이 낮아 어린묘보다 종묘이앙이 유리함
- 도열병에 강하나 집단재배시 도열병 발생이 우려되며, 줄무늬 잎나름병, 흰잎마름병에 비교적 강한편이나 충
- 해에 약함
- 수량성(10g당) : 시험성적 576kg
- 출수기가 8월12일경으로 동진벼보다 4일 빠르며 분얼수가 적음
- 키는 81cm로 동진벼보다 짧으며 이삭당 벼알수가 많음
- 쌀알은 단원형으로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좋음
- 도열병에는 중도저항성이나 흰잎마름병 강하고 내도복성임
- 수량성(10a당) : 시험성적 564kg
- 출수기가 8월 20일경으로 추청벼의 잎도열병을 보완한 다계 품종으로서 키가 큰편으로 도복에는 다소 약함
- 포기당 이삭수가 많은 수수형 품종으로 등숙 및 숙색이 양호함
- 잎도열병은 강하나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 및 충해에 약함
- 다계품종으로 종자 균일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종자는 반드시 보급종으로 사용
- (이형주 등 발생빈도가 높을 우려가 있음)
- 수량성(10a당) : 시험성적558kg
- 출수기가 8월 15일경으로 내만식 다수성 양질품종임
- 질소비료 과용시 쌀품질 및 등숙저하 우려됨으로 적정 균형시비
- 잎도열병은 중저항성이나 흰잎마름병과 충해에 약함
- 수량성(10a당) : 시험성적 547kg
- 출수기 8월12일경으로 중생종 화영벼와 비슷함
- 이삭수와 이삭당 벼알수가 많은 양질다수성 품종임
- 키가 작은 단간내도복성으로 쓰러짐에 강하고 등숙 및 숙색양호
- 목도열병 및 충해에 약하므로 적기방제
- 질소과용시 미질 및 등숙저하, 병해충 발생 우려되므로 균형시비
- 수량성(10g당) : 시험성적 552kg
※2008년도 공공미축 미곡수매품종 : 운광,화영,일품벼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