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1일 수요일

귀농인 성공률 곧 귀농정책과 귀농인들의 정착률에 대해서


실습 위주로 진행…만족도 85%
수료 후에도 지속상담·지원 주목


서울시농업기술센터가 귀농을 희망하는 시민을 위해 ‘귀농교육’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54명이 귀농의 꿈을 이룬 것으로 밝혀져 큰 관심을 모우고 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젊은 세대층의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 귀농교육 수료생 257명 중 54명이 귀농해 귀농률이 21%에 달한다. 

이같은 놀라운 성과는 IMF시대 때 귀농은 실직으로 인한 생계형 귀농이었지만 최근의 귀농은 재2의 인생을 가꾸는 계획형, 창업형으로 변화됐다는 것을 고려해 서울시농업기술센터가 지난해 △전원생활형 △창업형 유형으로 나눠 보다 심도 있는 교육과정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실제 전원생활형 과정은 은퇴 후 귀촌을 희망하는 시민이 3주(15일)동안 농업기술센터와 현지에서 분야별 농업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농업 실습체험을 통해 전원생활의 기초를 다지는 과정으로 편성했다. 반면 창업형은 창업과 전업농을 희망하는 시민을 위한 심화과정으로 구성해 농업기술과 귀농경영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을 2개월(40일)간 농업전문 교육기관에서 받는 방식이다. 

특히 서울시농업기술센터 교육의 특징은 귀농시 농촌생활에 필요한 실습위주의 과정으로 구성된 데다 수료 후에도 귀농정착 시 지속적인 상담과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귀농을 돕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귀농교육에 참여한 수료생의 교육 만족도가 8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이같은 무료 귀농교육은 계속된다. 이를 위해 지난 10일까지 모집 창업형 교육 희망자를 모집한 것이다. 

올해는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시민들이 늘어나 전년보다 전원생활형 과정 교육이 확대된다. 오는 4월부터 총 10기 과정으로 500명을 선정해 농업분야별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농업 실습체험을 통해 전원생활의 기초를 다지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이에 대해 이한호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귀농교육은 수료생이 농촌에 성공적으로 귀농하기 위해 기술상담은 물론 지역주민과의 융화 유도 등 사후 지원까지 추진해 농촌의 우수인력 유입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작년까지 귀농교육 수료자 257명의 21%에 해당하는 54명이 귀농에 성공한 것이 좋은 사례”라고 밝혔다.

귀농사모라는 카페도 있어요
전라북도, 맞춤형 귀농·귀촌 지원책 필요
땅값 비싸고, 밭 면적 적어 ‘외면’
출처 농업인신문
전라북도로의 귀농, 귀촌 비중이 감소하면서 귀농정책자금, 안정적 영농소득 확보 등에 대한 체계적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라북도발전연구원은 최근 ‘전라북도 귀농·귀촌 현황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전라북도 귀농·귀촌 현황과 장애요인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귀농, 귀촌인구는 전국적으로 32,424가구였으며, 전라북도는 이 중 9.2%, 2,993가구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2009년 21.6%에서 절반 이상 하락한 수치다. 반면 경기도의 경우 2010년 전까지의 귀농·귀촌가구 비중은 2~5% 수준이었으나 2013년 현재 전국 29%를 점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라북도발전연구원은 귀농, 귀촌인구 유입은 대도시의 접근성, 지가(地價)수준, 밭면적 등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상북도 상주시는 2012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귀농귀촌특별지원팀을 만들어 귀농인현장실습이나 농업창업 융자 지원 등 다양한 유인책을 펼치고 있다.

경북 상주와 영주는 전체 경지면적 중 밭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약 43%와 59.4% 등으로 농지구입비 대비 소득율이 높은 과수 등 특용작물 재배가 자리잡고 있다. 반면 전라북도는 귀농인 비율이 높은 고창의 밭 비율은 약 43%, 정읍은 약 30%에 불과했다.

이에 더해 고창군은 2012년부터 지가가 전국평균과 전라북도내 정읍, 남원 등의 지가상승률을 추월하면서 귀농, 귀촌인들이 농지구입 기간이 길어지고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됐다.
전라북도발전연구원은 “귀농인에게 핵심적인 농지·주택구입, 임대정보, 빈집알선, 일자리 정보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 체계가 필요하다”면서 이와함께 “가구주와 함께 유입된 귀농, 귀촌여성이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