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소식이 많네요...
원맥의 기원 및 종류
> 밀이야기 > 원맥의 기원 및 종류


밀은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1만 ~ 1만 5천년 전에 재배된 가장 오래된 작물 중에 하나입니다.. 석기시대에 이미 유럽과 중국에서 널리 재배하였고, 한국에서도 밀의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 되었습니다. 평안남도 대동군 미림리에서 발견된 밀은 BC 200년 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경주의 반월성지, 부영의 부소산, 백제 군량창고의 유적에서도 밀이 발견되었습니다.
밀은 고온에 약하므로 연간 평균 기온이 3.8℃, 여름철 평균 기온이 14℃ 이상인 지대에서 경제적인 재배가 가능하며. 밀은 그 품질이 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강우량이 적고 성숙기에 고온이 아닌 대륙성 기후에서는 경질밀(단단하고 굳은 성질)이 생산되며,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많은 해양성 기후에서는 연질밀(부드러운 성질)의 밀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분상질(가루의 성질) 밀이 일반적이나 내륙지방에서는 품종만 잘 고르면 경질밀(부드러운 성질) 생산도 가능하고 토양 조건은 부식질 양토가 알맞으며 모래가 섞인 토양이나 점질토에서는 보리보다 잘 적응하고, 척박지도 잘 적응하는 식물 입니다.
밀은 고온에 약하므로 연간 평균 기온이 3.8℃, 여름철 평균 기온이 14℃ 이상인 지대에서 경제적인 재배가 가능하며. 밀은 그 품질이 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강우량이 적고 성숙기에 고온이 아닌 대륙성 기후에서는 경질밀(단단하고 굳은 성질)이 생산되며,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많은 해양성 기후에서는 연질밀(부드러운 성질)의 밀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분상질(가루의 성질) 밀이 일반적이나 내륙지방에서는 품종만 잘 고르면 경질밀(부드러운 성질) 생산도 가능하고 토양 조건은 부식질 양토가 알맞으며 모래가 섞인 토양이나 점질토에서는 보리보다 잘 적응하고, 척박지도 잘 적응하는 식물 입니다.
밀은 전세계에 약 22종이 있는데, 크게 보통계 밀(T.aestivum)과 1립계 밀, 2립계 밀, 티모피계 밀로 나눈다. 보통계 밀은 세계 재배 면적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재배하는 밀도 모두 보통계 밀에 속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많이 재배하는 밀은 마카로니밀(T.durum)로 중앙 아시아, 아프리카 마카로니밀은 밀 중에서 가장 단단하고 마카로니 밀의 품질은 이용 목적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른데, 양조용으로 재배할 때는 밀알의 배젖이 차지하는 비율이 큰 것이 유리하며, 밀가루 제조를 목적으로 할 때는 제분율이 높은 것이 좋습니다.
밀은 동양에서 보조식량으로 쓰이지만 서양에서는 주식량이며, 쌀과 함께 세계의 2대 식량 작물입니다. 90% 이상이 제분되고 있으며 또한 간장과 된장의 원료로도 쓰이고 있고 밀기울은 좋은 사료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밀가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점차 높아져 2005년엔 300만톤 이상을 수입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식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많이 재배하는 밀은 마카로니밀(T.durum)로 중앙 아시아, 아프리카 마카로니밀은 밀 중에서 가장 단단하고 마카로니 밀의 품질은 이용 목적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른데, 양조용으로 재배할 때는 밀알의 배젖이 차지하는 비율이 큰 것이 유리하며, 밀가루 제조를 목적으로 할 때는 제분율이 높은 것이 좋습니다.
밀은 동양에서 보조식량으로 쓰이지만 서양에서는 주식량이며, 쌀과 함께 세계의 2대 식량 작물입니다. 90% 이상이 제분되고 있으며 또한 간장과 된장의 원료로도 쓰이고 있고 밀기울은 좋은 사료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밀가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점차 높아져 2005년엔 300만톤 이상을 수입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식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밀
맥종 | 특징 |
---|---|
적맥 (H.R.W : Hard Red Winter Wheat) | 미국밀의 주종이 되는 밀로 미국의 캔사스, 오크라호마, 텍사스, 네브라스카, 콜로라도 등의 미국 중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적색 경질의 겨울밀, 우리나라에 많이 수입되는 밀로 국내에서는 보통 중력분을 생산하는 원료이며 면 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특맥 (D.N.S : Dark Northem Spring) | 북다코다 전역과 몬타나, 남다코다, 미네소타 등에서 생산되는 적색의 봄밀, 담백질 함량은 13~16%이며 지역적으로 캐나다와 접해 있는 국 중북부 지역에서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빵용 강력분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
백맥 (W.W : White Wheat) | 미국 서부의 워싱턴, 오레곤, 아이다호, 미시건 등에서 생산되는 백색의 겨울밀, 백맥 중에서는 연질백맥(Hard Wheat)이 주종을 이루며 그 밖의 클럽백맥(White Club)과 경질백맥(Hard Wheat)등이 있습니다. 미국서부에서 생산되는 밀은 자국 소비가 적어 대부분의 연질백맥과 소량의 클럽백맥이 혼합되어 웨스턴 화이트 라는 이름으로 수출 되고 백맥의 주용도는 케익과 과자용이며 국내에선 적맥과 혼합하여 다목적 밀가루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
호주밀
맥종 | 특징 |
---|---|
A.P.H | 퀸스랜드와 뉴사우스웨일즈에서 생산되는 백색의 동소맥. 단백질 함량이 13-14%로 초자질이 약 90%이상 함유된 밀로서 빵과 중화면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A.H : Australian Hard | 호주에서 생산되는 백색의 통소맥, A.P.H보다 단백질 함량이 적은 약 12%전후의 밀로서 적맥(H.R.W)과 같은 용도로 사용중입니다. |
A.S.W : Australian Standard White | 호주의 모든 주에서 생산되는 백색의 동소맥. 호주에서 생산되는 밀 대부분이 A.S.W로서 단백질 함량이 약 9.0-11.5%로 생산지역에 따라 다소의 품질 차이가 있습니다. 중앙아시아와 인도의 아라비아 빵과 찐빵에 이용되고 대부분이 면 용으로 이용 되며 국내 도입되는 호주밀의 주종으로 일반 라면 생산은 거의 A.S.W가 이용되고 있습니다. |
A.S | 주산지는 호주의 서남부이며 빅토리아와 뉴시우스웨일즈에서도 약간 재배되는 백색의 통소맥, 단백질 함량은 8.0~8.5%로 케이크와 비스켓에 주로 사용되며 호주로부터 국내에 도입되는 A.S는 단백질 함량이 낮기 때문에 케이크에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
캐나다밀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밀의 종류와 품질의 구분은 품종 별로 그 명칭이 붙여지고 각 품종의 등급은 단백질 함유량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고 있으며 캐나다 밀은 품종 별로 3등급까지 세분되어 1등급은 밀알이 충실하고 다른 종류의 밀 혼합률이 적고먼지도 적은편 입니다.
맥종 | 특징 |
---|---|
C.W.R.S : Canadian Western Red Spring |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경질맥. 단백질 함량이 높아 빵 용에 사용되며 특히 마니토바에서 생산되는 밀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빵 용 밀가루 제분의 원료가 되며. 국내에 수입되는 캐나다 밀의 주종 입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